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 전직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을 향해 선전포고를 하는 듯 합니다. <br> <br>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에 대해 문재인 전 대통령이 매우 직설적인 표현의 글을 올렸습니다.<br> <br>'대통령실이 직접 나서 논란을 정리하라'고 한 겁니다. <br><br>사실상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철거 계획을 철회하라는 뜻을 전한건데, 대통령실은 반응을 자제하고 있지만 전현 정권의 정면 충돌이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소식, 조아라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문재인 전 대통령이 육군사관학교의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을 두고 대통령실의 개입을 촉구했습니다. <br><br>문 전 대통령은 SNS에 "이 정도 논란이 커졌으면 대통령실이 나서서 논란을 정리하는 것이 옳을 것"이라며 "흉상 철거 계획을 철회하여 역사와 선열에 부끄럽지 않게 해주기 바란다"고 말했습니다.<br><br>사실상 윤석열 대통령에게 흉상 이전 계획을 철회하라고 공개 압박에 나선 겁니다. <br><br>앞서 문 전 대통령은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 초기부터 우려를 표하며 비판 수위를 높여왔습니다.<br><br>[윤건영 / 더불어민주당 의원(그제)] <br>"문재인 전 대통령께서는 '윤석열 정부의 폭주가 너무 심해 제1야당 대표가 단식하는 상황이 염려스러워 전화 드렸다'…" <br> <br>대통령실은 국방부 차원에서 결정한 일인만큼 문 전 대통령의 주장에 별도로 대응하진 않을 계획입니다. <br><br>다만 잊혀지겠다던 문 전 대통령이 논란에 연일 가세하며 윤 대통령까지 끌어들이자, 내부적으로는 불편한 분위기도 감지됩니다. <br> <br>여당은 문 전 대통령을 맹비난하고 나섰습니다. <br><br>장예찬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"문재인 전 대통령은 육사의 흉상 이전을 둘러싼 역사 논쟁에 입을 열 자격이 없다"며 "북한은 우리 주적이 맞냐에 대답도 못하는 사람이 대한민국 국군 통수권자였다는 게 역사적 비극"이라고 받아쳤습니다.<br> <br>문 전 대통령의 공세로 전현직 대통령의 이념 충돌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: 강민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